안녕하세요, 거의 2주 만에 블로그 글을 올리네요

 

그동안 독감으로 거의 1주일 동안 칩거하고 어지러워서 아무것도 못했어요..

 

요즘 독감이 엄청 유행이라고 하니 다들 조심하셔야 합니다ㅠㅠ!

심지어 저는 10월에 예방접종도 맞았는데 걸렸어요. 아마 요즘 야근도 많아서 무리를 해서 그런 거 같네요..

 

 


독감 증상은 1월 2일부터 왔던 거 같아요.

저도 찾아보니 "밤에 잠이 안 옴", "피로함"이 초기 증상이라고 해요.

 

1월 2일부터 밤에 잠이 안 오더니 온몸에 피곤함이 계속 있었어요.

그리고 3일(금요일) 밤부터 목이 약간 간질간질하고 가래가 나오더라고요.

 

그때까지만 해도 그냥 감기인 줄 알고, 유자차 타 먹고 약 먹고 그랬는데 그날 밤에도 잠이 엄청 안 오고 뒤척임이 심했어요.

 

그리고 대망의 4일(토요일)이 되자, 이 나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심하지 않아서

이지엔식스 먹고 가라앉길래 괜찮나 보다 했는데 밤부터 열이 끓고 밤새 내내 앓았어요ㅠㅠ

 

5일 아침에는 도저히 몸을 가눌 수가 없고, 이불만 스쳐도 몸이 아린 그 증상이 나타났어요...

그래서 급히 동네에서 일요일에 진료 보는 병원을 찾았고 가서 검진받으니 열이 39.8도였고, A형 독감 확진을 받았습니다.

 

바로 영양 수액이랑 페라미 플루 수액이라고 해서 타미플루 약을 먹지 않고 이 약의 효과를 단번에 볼 수 있는 수액을 맞았어요.

시간은 좀 천천히 맞아서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되었고 저는 바로 열이 떨어지고 좋아졌는데, 블로그에 보니 어떤 분들은 맞지 않는 분들도 있는 거 같더라고요..

 

아무튼 총비용은 19만 원 정도 나왔는데, 실비 보험의 득을 드디어 본 것이!! 청구하고 나서 18만 원 정도 돌려받았어요

병원에다가 실비 청구하려고 하는데 서류 주세요 하면 알아서 다 챙겨주시더라고요!

 

그 이후에는 회사 팀장님께 진단서 보내드리면서 격리 조치가 필요해서 병가 5일 내겠다고 하고

6일부터 10일까지는 집에서 있으면서 쉬었네요ㅠㅠ 10일인 금요일이 되자 90% 정도 회복한 느낌이었어요

 

열이 떨어져도 2-3일 정도는 체력이 완전히 회복이 되지 않아서 나가는 건 정말 무리인 거 같아서

저는 집에서만 쉬면서 약 먹고 숙면을 취했습니다.

 

아무튼 그래서 그동안 생각한 글들을 하나도 못 올렸네요ㅠㅠ

회사 다니면서 하려다 보니 어려운 점들도 있고.. (요즘 연말정산, 평가, 연봉 리뷰 시즌이라 ^_ㅠ)

 

그래도 회복을 했으니 다시 힘내서 글들을 올려볼게요:-D

 

 

 

대표이미지 출처_imagetoday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를 시작하는 이유  (0) 2019.12.31

HR의 구분 & HRM의 세부 분야

 


HR은 크게 HRM(Human Resource Management), HRD(Human Resrouce Development)로 나뉘는데요, 각각 fuction을 세부적으로 구분해보자면 아래의 그림을 보는게 제일 이해하기는 쉽습니다. 

 

오늘은 각 분야별로 대략적인 내용들을 제시하고 추후 포스팅을 통해 각각의 주제들에 대해 더 자세하게 살펴보고 요즘의 트렌드를 적어보고자 합니다:)

 

 

출처: McGuire, D. (2014). Found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p. 1-16). 55 City Road,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doi: 10.4135/9781473906891.n1

 

 

 

1. 선발 & 배치 (Selection & Staffing)

선발 및 배치는 보통 '채용', 'Recruiting'으로 불립니다.  채용은 회사에 필요한 인재를 규정하여 공고를 내고, 후보자들을 선별하여 회사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맞는 인재들을 선발하고, 이들을 배치하는 것을 일컫는 과정입니다.

 

저도 채용업무를 진행해보았지만, 이력서, 자기소개서만 가지고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고, 실제로 면접을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지원자가 답변하는게 참인지 판단하는게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력직의 경우에는 Reference check(평판조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대략적으로 채용업무는 '공고 - 서류 접수 및 스크리닝 - 인터뷰 일정 - 1차 면접 진행 - 피드백 - 2차 면접 진행 - 피드백 - 오퍼 - 계약서 서명'순으로 진행됩니다. 경력직의 경우 레퍼런스 체크는 2차 면접 전에 진행되는 경우도 있고 오퍼 전에 진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성과관리 (Performance Management)

성과관리는 말그대로 직원들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평가한 것을 관리하고,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고, 평가 가이드에 맞게 피평가자가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과는 특히 연봉인상, 성과급 지급, 직무 전환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회사 내부적으로도 중요한 내용이고, 민감한 부분입니다.

 

성과관리는 말은 쉬워보이지만 객관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부분을 가이드 하는게 어려운 부분입니다. 피평가자교육이 있을만큼이나 중요한 부분이지요. 또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요즘에는 상사, 동료, 부하직원 등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360도 평가(다면평가)'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주로 년도 초에 업목표와 더불어 해당 년도의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수립하고 3개월 텀으로 Mid Review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연말에 평가를 진행하여 팀, 부서, 사업부 차원에서 리뷰를 진행하고 평가 결과를 커뮤니케이션 합니다.

 

 

3. 인력계획 (Human Resrouce Planning)

인력계획은 크게 인원 관리인건비 관리가 있습니다. 인원 관리는 사업 상황과 매출 그리고 각 부서의 니즈에 따라 내년도 인력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를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반면 인건비 관리는 회사의 인원들에 대해 총 인건비가 어느정도 들어가는지 분기별로 혹은 반기별로 확인하며, 내년도 인건비도 대략적으로 계획을 수립하는 업무입니다.

 

사실 이업무는 굉장히 꼼꼼함을 요구하며 유관 부서들과 커뮤니케이션 해야하는 일도 많기 때문에 협업능력도 중요합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맞게 숫자가 바뀌기 때문에 차분함을 유지하고 업무를 수행해야하는 것이지요.

 

또 이러한 업무는 엑셀을 사용하거나 인사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OA능력이나 HR 시스템을 다루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4. 조직 및 직무 설계 (Organization & Job Design)

 

조직 및 직무 설계는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 그리고 이에 맞는 직무를 설계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HR에 막 입사한 주니어가 접할 기회는 적은 것 같아요. 어느정도 연차가 쌓인 분들이 인사 기획쪽으로 하시는 업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구체적으로 직무를 어떻게 운영하는지에 대해 추후에 포스팅을 통해 안내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쭉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인사라고 해서 어느 분야 딱 무자르듯이 나누어 보기가 어려워요. 결국 다 유기적으로 연관이 되어있는 것이죠.

 

그래서 해당 업무는 HRM의 차원으로만 속한다고 하기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결국 조직을 운영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HRD와도 연관되어 조직을 어떻게 구성하고 키워나갈지 생각을 해야하니깐요.  

 


 

오늘은  HRM 분야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대략적인 내용은 어떤 것인지 소개드렸는데요, 앞으로 각 주제들에 대해서 어떠한 업무가 이루어지고 필요한 지식, 역량은 무엇인지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Joody입니다:)

저는 현재 HR 관련 업무를 하고 있어요. 

대학생때부터 관심가지고 있던 분야인데 어찌저찌 하다보니 실제로 HR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아마 HR을 희망하면서 준비하는 대학생분이나 취업준비생분들은 아실거예요.

HR정보를 찾기도 힘들고 실무는 어떻게 하는지 등등..? 


저도 취업준비하면서 정보들을 찾기 힘들었습니다.

물론 정말 잘 정리해서 올려주시는 분들도 간혹 계시지만요.


그래서 생각한게 제 생각도 정리하고 공부하는 겸 

그리고 조금이나마 HR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측면에서 글을 올리려고 결심했습니다!


물론 저도 너무 부족한 점이 많죠... 아직 업무를 오랫동안 한것도 아니고 지식적으로 완벽한게 아니니깐요


소소한 일상 + HRM/HRD로 나누어 글을 조금씩 게시할 예정이니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 Recent posts